• 막말의 뒤끝
  • 우정구 케이투데이 편집인<전 매일신문 편집국장>
  • 스포츠 용어로 잘 쓰이는 트래쉬 토크(Trash Talk)는 상대 선수에 대해 모욕적인 방식으로 대화하는 것을 두고 이르는 말이다. 트래쉬 토크를 우리 말로 직역하자면 ‘쓰레기 토론’ 정도다.

    운동 선수들이 상대방을 자극하기 위해 언론 인터뷰나 SNS 등에 모욕적이고 비난성 짙은 발언을 쏟아내는 것은 경기를 앞두고 심리전에서 상대를 제압하겠다는 의도가 있는 행위다. 또 시합을 앞두고 상대와 심한 비방성 발언을 주고받음으로써 경기의 흥행을 끌어올리려는 의도도 숨어 있는 것이다.

    상술의 하나로 노이즈 마케팅이 있다. 상품의 품질과는 상관없이 오로지 상품을 팔 목적으로 고의적으로 구설수를 만들어 인지도를 높이는 판매 방식이다. 트래쉬 토크든 노이즈 마케팅이든 대중의 이목을 끌거나 돈을 벌기 위해 부정적 이미지도 감수하는 일종의 타깃 마케팅 방식이다.

    그런 점에서 정치인이 쏟아대는 막말은 목적도 없고 정치적 이익도 없는 허무맹랑한 일이다. “말은 한 사람의 입에서 나오지만 천 사람의 귀로 들어간다”는 서양의 격언이 있다. 말을 신중히 하라는 뜻이다.

    우리나라 속담에도 “말 한마디로 천냥 빚을 갚는다”고 했다. 동서고금을 통해 말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경구(警句)는 수도 없이 많다. 특히 고위층이나 영향력 있는 정치인이면 말을 골라가며 하는 지혜부터 먼저 배워야 한다.

    송영길 민주당 전 대표가 한동훈 법무부 장관을 향해 던진 시정잡배 수준의 막말이 여론의 도마에 올랐다. 사람의 언행을 보면 내일의 나를 본다고 했다. 말 잘못해 역사 뒤안길로 사라진 인물이 어디 한두 사람인가. 5선 관록이 무너져 내린 모습에서 막말의 뒤끝을 보는 것 같아 씁쓸하다.
    우정구 케이투데이 편집인
    <전 매일신문 편집국장>


  • 글쓴날 : [23-11-15 07:28]
    • 코끼리뉴스 케이투데이 기자[byj8085@naver.com]
    • 다른기사보기 코끼리뉴스 케이투데이 기자의 다른기사보기